MACD

MACD(12,26,9)가 표시된 주가 데이터의 예시. 파란색 선은 주가의 12일 지수이동평균과 26일 지수이동평균의 차이이다. 빨간색 선은 MACD의 9일 지수이동평균의 시그널이다. 막대 그래프는 파란색 선과 빨간색 선의 차이값으로 오실레이터이다.

MACD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移動平均 收斂擴散 指數, 영어: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로 1970년대 후반에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이 만든 주가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지표이다.[1] MACD는 주가 추세의 강도, 방향, 모멘텀 및 지속 시간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었다.

MACD는 과거의 가격 데이터(대부분 증가)로부터 계산된 세 가지 시계열의 모음이다. 이러한 세 가지 시계열은 MACD 고유의 "신호", "평균", "확산"이다. MACD는 장기 지수이동평균과 단기 지수이동평균 간의 차이이다. 평균은 MACD 자체의 지수이동평균이다.

같이 보기

각주

  1. Appel, Gerald (2005). 《Technical Analysis Power Tools for Active Investors》. Financial Times Prentice Hall. 166쪽. ISBN 0-13-147902-4. 

외부 링크

  • MACD 보조지표 매매 활용법
  • MACD Oscillator 보는 방법
  • v
  • t
  • e
개념
차트
패턴
차트
  • 브로드닝 탑
  • 컵 앤 핸들
  • 더블 탑 앤 더블 바텀
  • 플래그 앤 페넌트 패턴
  • 헤드 앤 숄더
  • 아일랜드 리버설
  • 프라이스 채널
  • 트라이앵글
  • 트리플 탑 앤 트리플 바텀
  • 웨지 패턴
캔들스틱
단순
  • 도지
  • 망치형
  • 교수형
  • 역망치형
  • 마루보주
  • 유성형
  • 팽이형
복잡
  • 히카케 패턴
  • 샛별형
  • 흑삼병
  • 적삼병
지표
지지와 저항
  • 바텀
  • 피보나치 되돌림
  • 피봇 포인트 (PP)
추세
  • 평균방향이동지표 (ADX)
  • 커머더티 채널 인덱스 (CCI)
  • 디트렌디드 프라이스 오실레이터 (DPO)
  • 노우 슈어 씽 오실레이터 (KST)
  • 일목균형표
  • MACD
  • 매스 인덱스
  • 이동평균 (MA)
  • 파라볼릭 SAR (SAR)
  • 스마트 머니 인덱스 (SMI)
  • 추세선
  • 트릭스
  • 보텍스 인디케이터 (VI)
모멘텀
  • 머니 플로우 인덱스 (MFI)
  • 상대강도지수 (RSI)
  •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 진정강도지수 (TSI)
  • 얼티밋 오실레이터
  • 윌리엄스 %R (%R)
거래량
  • 누적분산지수
  • 이지 오브 무브먼트 (EMV)
  • 포스 인덱스 (FI)
  • 네거티브 볼륨 인덱스 (NVI)
  • 온 밸런스 볼륨 (OBV)
  • 풋/콜 비율 (PCR)
  • 거래량 가격 추세 (VPT)
변동성
  • 등락주선 (ADL)
  • 암스 인덱스 (TRIN)
  • 맥클레란 오실레이터
기타
  • 코폭 곡선
  • 궤양 지수
애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