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러시아 수호이 Su-24 격추 사건

2015년 러시아 수호이 Su-24 격추 사건


격추된 러시아 수호이 Su-24M

개요
발생일시 2015년 11월 24일
발생유형 격추
(터키 공군 F-16에 의해 격추됨)
발생원인 터키 영공 침범
발생장소 시리아-터키 국경
비행 내용
기종 수호이 Su-24 1대
Mi-8AMTsh 구조 헬리콥터 1대
소속 러시아 공군
승무원 2명
(미확인 구출 헬리콥터 승무원)
피해 내용
사망자 2명
(1명 조종사, 1명 구출작전요원)
생존자 1명
(무기체계담당관)
  • v
  • t
  • e
연표
  • 2011년 1월–4월
  • 2011년 5월–8월
  • 2011년 9월–12월
  • 2012년 1월–4월
  • 2012년 5월–8월
  • 2012년 9월–12월
  • 2013년 1월–4월
  • 2013년 5월–12월
  • 2014년 1월–8월
  • 2014년 9월–12월
  • 2015년 1월–8월
  • 2015년 9월–12월

  • 도시
  • 폭격
  • 학살
  • v
  • t
  • e
시리아 민중봉기
(2011년 3월–8월)
  • v
  • t
  • e
반란 초기
(2011년 9월–2012년 4월)
  • 홈스
  • 1차 이들리브 주
    • 터키 국경
    • 자발 알자위야
    • 1차 이들리브 시
    • 사라켑
  • 1차 라스탄
  • 하마 주
  • 다라 주
  • 케르나즈
  • 1차 리프디마슈크 주
    • 1차 자바다니
    • 도우마
  • 1차 데이르에조르
    • 하틀라
  • 알레포 주
    • 아자즈
  • 2차 라스탄
  • 1차 알쿠사이르
  • 2차 이들리브 주
    • 타프타나즈
  • v
  • t
  • e
내전 돌입
(2012년 5월~2013년)
  • 3차 라스탄
  • 훌라
  • 알하파흐
  • 알쿠베이르
  • 알트렘세흐
  • 3차 이들리브 주
  • 1차 다마스쿠스
    • 폭격
  • 알레포
    • 아나단
    • 메나그 공군기지
    • 제46기지
    • 칸 알아살
    • 제1차 알레포 공세
    • 2차 알레포 공세
  • 로자바
    • 라스 알아인
    • 쿠르드-이슬람주의 분쟁
  • 누블·알자흐라
  • 2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다라이야)
  • 아부 알두후르 공군기지
  • 쿠네이트라 주
  • 3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야르무크
    • 2차 다라이야
  • 아크랍
  • 제1차 하마 공세
    • 할파야
  • 1차 사피라
  • 샤다데
  • 2차 다마스쿠스
  • 라카
  • 제1차 다라 공세
  • 4차 리프 디마시크
    • 즈다이뎃 알파들
    • 고우타
  • 알쿠사이르 공세
    • 2차 알쿠사이르
  • 바이다·바니야스
  • 제2차 하마 공세
  • 제1차 라타키아 공세
  • 마로울라
  • 사다드
  • 5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칼라모운
  • 아드라
  • v
  • t
  • e
이슬람주의자들의 성장
(2014년 1월–9월)
  • 반군-IS 분쟁
    • 마르카다
    • 제1차 데이르 에즈조르 공세
  • 알오타이바
  • 마안
  • 호슨
  • 모레크
  • 제2차 다라 공세
  • 제2차 라타키아 공세
  • 4차 이들리브 주
  • 알말리하
  • 와디데이프
  • 2차 칼라모운
    • 아르살
  • 1차 샤에르 가스전
  • 동부 공세
    • 타브카 공군기지
  • 제3차 하마 공세
  • 제6차 리프 디마시크
  • 제1차 쿠네이트라 공세
  • 코바니
  • v
  • t
  • e
미국 주도 연합군의 개입
(2014년 9월–2015년 9월)
  • 미국 주도의 개입
  • 제3차 다라 공세
  • 제2차 사피라
  • 이들리브 습격
  • 알누스라-혁명전선 분쟁
  • 2차 샤에르 가스전
  • 알샤이크 마스킨
  • 제2차 데이르 에즈조르 공세
  • 제3차 알레포 공세
  • An-26 추락
  • 제4차 다라 공세
  • 남부 공세
  • 동부 하사카 주 공세
  • 1차 사린
  • 하마·홈스 공세
  • 보스라
  • 5차 이들리브 주
    • 2차 이들리브 시
  • 알푸아카프리야
  • 나시브
  • 2차 야르무크
  • 1차 서북부 공세
  • 3차 칼라모운
  • 제1차 팔미라 공세
  • 서부 알하사카흐 공세
  • 1차 하사카
  • 텔아비아드
  • 다라·아스수와이다
  • 제2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사린
  • 제5차 다라 공세
  • 2차 하사카 시
  • 2차 코바니
  • 제4차 알레포 공세
  • 2차 자바다니
  • 제2차 팔미라 공세
  • 알가브 공세
  • 알카라타인
  • 도우마
  • 7차 리프 디마시크
  • 쿠웨이레스 공세
  • v
  • t
  • e
러시아의 개입
(2015년 9월–2016년 3월)
  • 러시아의 개입
  • 제3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서북부 공세
  • 제5차 알레포 공세
  • 마힌
  • 알하울
  • 알샤다디
  • 3차 홈스 공세
  • 제3차 라타키아 공세
    • 수호이 Su-24 격추
  • 제5차 하마 공세
  • 티시린 댐 공세
  • v
  • t
  • e
튀르키예의 개입
(2016년 3월–2017년 2월)
  • 제8차 알라포 공세
  • 제6차 다라
  • 제9차–제11차 알레포 공세
  • 알두마이르
  • 동부 고타 반군 분쟁
  • 카미실리
  • 알레포 폭격
  • 제8차 리프디마슈크
  • 제3차 샤에르 정유소
  • 제1차 북부 라카
  • 자블레 & 타르투스
  • 만비즈
    • 토카르
  • 제2차 이드리야-라카
  • 제9차 리프디마슈크
  • 제12차–제14차 알레포 공세
    • 제12차
    • 제13차
    • 제14차
  • 제4차 라타키아
  • 알부카말
  • 제3차 카미실리
  • 아트메
  • 알라이
  • 제3차 하사카
  • 튀르키예의 개입
  • 제5차 하마
  • 제1차 서부 알바브
  • 동부 카라먼
  • 9월 폭격
  • 제4차 쿠네이트라 공세
  • 데이르에조르 공습
  • 알레포 수송선 공격
  • 제15차 알레포 공세
  • 칸 알신
  •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2차 서부 알바브
  • 제16차 알레포 공세
  • 라카
  • 제17차 알레포 공세
  • 제4차 팔미라
  • v
  • t
  • e
ISIL의 쇠퇴
(2017년 2월~11월)
  • 와디 바라다
  • 제1차 시리아 사막
  • 아자즈 폭격
  • 제5차 팔미라
  • 제4차 데이르에조르
  • 제18차 알레포
  • 제2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7차 다라
  • 카분
  • 제8차 다라
  • 동부 홈스
  • 알지나
  • 제6차 하마
  • 타브카
  • 칸 샤이쿤
  • 샤이라트
  • 알레포 버스 폭발
  • 개입 후 터키 공습
  • 제2차 동부 고타 반군 충돌
  • 제2차 시리아 사막
  • 마스카나
  • 동부 하마
  • 제2차 락까
  • 제9차 다라
  • 남부 라카
  • 이란군 데이르에조르 공습
  • 조바르
  • 제5차 쿠네이트라
  • 중앙 시리아
  • 제3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4차 칼라문
  • 제5차 데이르에조르
  • 동부 시리아 전역
    • 제6차 데이르에조르
    • 유프라테스 도하
    • 마야딘
    • 제2차 부카말
  • 제7차 하마
  • 제2차 터키군 개입
  • v
  • t
  • e
반군 후퇴와 올리브 가지 작전
(2017년 11월~2018년 9월)
  • 북서 시리아 전역
  • 아타리브
  • 하라스타
  • 베이트진
  • 제1차 남부 다마스쿠스
  • 아프린
  • 카샴
  • 2018년 2월 이스라엘-시리아 사건
  • 제10차 리프디슈마크
    • 두마
  • JTS-HTS 갈등
  • 제2차 남부 다마스쿠스
  • 북부 홈스 공세
  • 제2차 동부 칼라문
  • 제3차 남부 다마스쿠스
  • 제8차 데이르에조르
  • 제9차 데이르에조르
  • 수와이다
  • 남부 시리아
  • v
  • t
  • e
이들리브 비무장화
(2018년 9월~2019년 4월)
  • 이들리브 비무장화
    • 이들리브 제5차 반군 충돌
    • 2018년 9월 미사일 공습
  • 동부 유프라테스 공습
  • 시리아 북부 국경
  • 다라 반란
  • 2019년 만비지 자폭 테러
  • 바구즈 파카니
    • 미국 공습
  • v
  • t
  • e
이들리브 공세와 튀르키예의 침공
(2019년 4월~2020년 3월)
  • 이들리브의 새벽
  • 텔리파아트
  • 하스
  • 2019년 시리아 테러
  • 2019년 8월 미사일 공습
  • 평화의 봄
    • 제2차 알아스라인
  • 카일라 멜러 작전
  • 2019년 11월 미사일 공습
  • 이들리브의 새벽 2
    • 바리운
    • 봄의 방패
  • v
  • t
  • e
이들리브 휴전
(2020년 3월~현재)
  • 제6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아인이사
  • 카미실리&알하카사
  • 2021년 1월 미사일 공습
  • 카미실리
  • 제11차 다라
  • 제7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3차 알하카사
  • 제1차 알레포 반군 충돌
  • 제벨비슈리
  • 제2차 알레포 반군 충돌
  • 클로 소드
  • 북서시리아
  • 제1차 북동시리아
  • 데이르에조르
  • 제2차 북동시리아
  • 홈스
  • v
  • t
  • e
레바논
    • 국경 충돌
    • 시돈
    • 이란 대사관 폭파
    • 북부 레바논 충돌

튀르키예
    • F-4기 요격사건
    • 레이하늘리
    • 2014년 공습
    • 쿠르드인 폭동

튀르키예-러시아 대치
    • Su-24기 격추 사건

이스라엘

요르단
    • 2012년 충돌
    • 2014년 공습

이라크
    • 아카샤트
    • 알샤바흐 작전
    • 서부 니나와

유럽의 이슬람 테러리즘

이란
  • v
  • t
  • e
  • v
  • t
  • e
레바논
    • 국경 충돌
    • 시돈
    • 이란 대사관 폭파
    • 북부 레바논 충돌

튀르키예
    • F-4기 요격사건
    • 레이하늘리
    • 2014년 공습
    • 쿠르드인 폭동

튀르키예-러시아 대치
    • Su-24기 격추 사건

이스라엘

요르단
    • 2012년 충돌
    • 2014년 공습

이라크
    • 아카샤트
    • 알샤바흐 작전
    • 서부 니나와

유럽의 이슬람 테러리즘

이란

2015년 러시아 수호이 Su-24 격추 사건2015년 11월 24일터키 · 시리아 국경 부근에서 러시아 공군전폭기터키 공군에 격추된 사건이다.

개요

러시아 국방부가 처음으로 발표한 사건 지도. 파란색 선이 터키 공군F-16 비행 경로이다.
러시아 국방부가 두번째로 발표한 사건 지도. 빨간색 선이 러시아 공군의 수호이 Su-24 전폭기의 이동 경로이며, 파란색 선이 터키 공군F-16 비행 경로이다.

2015년 11월 24일 9시 20분경 터키와 시리아 국경 부근에서 러시아 공군의 Su-24 전폭기가 터키 영공을 침범했다고 터키군의 F-16 전투기가 발사한 AIM-9공대공미사일에 격추되어 시리아 북부에 추락했다. 터키군은 국적 불명기 2대가 영공을 침범한 것으로 인식하고 10번 경고했지만 영공 침범을 계속했기 때문에 1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하고 있다.[1][2] Su-24의 탑승자 2명이 사망 한 것으로 보인다. 승무원 2명 비상 탈출 장치로 탈출했지만, 투르크멘인 시리아 반체제 무장 세력은 이날 저녁 '승무원 2명을 사살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도 '승무원 1명이 탈출 후 지상에서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Su-24은 격추되기 전에 시리아 터키계 소수 민족 투르크멘인 거주 지역을 폭격하고 있었다. 또한 승무원 수색을 하고 있던 러시아 군의 헬리콥터가 시리아 반체제 인사에 따르면 공격을 받아 손상되어 정부군 지배 지역에 불시착하여 승무원 1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러시아 군은 10월 3일에 터키 영공을 침범했다고 튀르키예에서 항의를 받은 것에 대해 '조종 실수'라고 해명했다.

반응

미국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터키는 자국의 영토와 영공을 보호할 권리가 있다."며 "러시아가 온건한 반정부 세력을 공격하고 있는 것은 문제다."라고 말했으며, "터키와 러시아가 직접 대화를 실시하여 사태가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3] 러시아가 터키에대한 군사적 위협이 증가하자 미국은 터키에 F-15전투기를 배치했다.[4]또한 러시아의 터키-IS 밀거래 의혹을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5]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북대서양 조약 기구

터키의 요청에따라 나토 본부가 위치한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이례적으로 NAC(북대서양 이사회)긴급 회의를 소집했으며 옌스 스톨텐베르크 사무총장은 “러시아가 나토 회원국 국경을 자주 침범했기에 터키를 강력 지지한다”고 강조했다.[6]12월 2일에 열린 회의에서는 터키의 방공망을 강화하는데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영국, 독일, 덴마크 등 주요 가맹국들이 터키와 지중해에 군함과 전투기를 추가 증원하기로 결정했다.[7]

유엔 국제 연합

11월 25일, 반기문 UN사무총장은 러시아 전투기가 터키 공군에 의해 격추된 것과 관련해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며 긴장 완화를 위해 관계 당사자들이 모여 긴급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으며 신중하고 철저한 사고 조사가 미래의 사태 재발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8] 또한 UN대변인은 "관련된 모든 국가에 긴장을 완화하기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며 러시아 터키 모두에게 냉정한 대응을 촉구 한 후, "시리아 공습에 관한 국가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일반 시민의 연루를 피하기 위해 최대한의 배려를 해야한다 "며 IS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진행중인 각국에 신중한 대응을 호소했다

러시아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와 터키 관계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라며 비난했으며 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군용기 격추는 전쟁 명분이 된다라고 밝혔다.[9] 러시아는 본격적으로 터키에대한 경제제재에 돌입했으며 러시아인의 터키 여행 금지,터키 농산물 수입 제한,러시아내에서의 터키계 기업활동 등의 조치가 포함된다.[10]러시아에서 활동중인 터키의 근로자 20만명의 노동계약 연장과 신규 채용을 금지했으며 터키 기업인 50명을 추방하기도 했다.[11] 또한 러시아는 본격적인 군사적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테러단체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거점을 폭격하는 러시아군 전략폭격기 주위에 호위 전투기 배치 그리고 시리아 내 라타키아 공군기지에 S-400지대공미사일을 배치했다.사거리 400km로 시리아 전역과 터키 남부 일대가 사정권에 들어갈 뿐만아니라 이스라엘에도 위협적이다.[12] 이외에도 러시아군은 시리아 인근 해역에 슬라바급 미사일 순양함을 배치했으며 12월 13일에는 러시아 경비함이 터키 어선에 실탄으로 경고사격을 가하는 일도 있었다.[13] 또한 시리아 내의 터키 원조차량을 러시아 전투기가 폭격하는 일도 있었다.[14]

러시아는 격추된 전투기의 블랙 박스를 개봉하는 작업에 착수했으며 손상된 블랙박스에대한 추가 판독이 이루어지고있다고 발표했다.[15]

튀르키예 터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러시아 군용기인지 몰랐다"라는 반응을 보였으며 유감을 표명했다.[16]아흐메트 다부토올루 총리는 "군용기 격추는 정당하다"라는 반응을 보였다.[17]또한 터키 외무장관은 "러시아와 과도한 대응에 인내심 한계에 달한다"라고 밝혔다.[18] 러시아의 경제제재 조치에 맞서 터키는 러시아산 LNG수입을 최대25%줄이는것으로 대응했다.[19]또한 터키 외무부는 터키 국민들의 러시아 여행을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터키국민들의 반러감정은 증폭되었으며 반러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프랑스 프랑스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와의 회견에서 "러시아가 다에시(IS)에 대한 군사적 행동에 집중하고 시리아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완전히 약속한다면 모두가 함께 해야 한다. 어떤 나라도 배제되어서는 안된다"라고 밝혔다.[20]

이란 이란

친러국가인 이란도 터키에 대해 비난하고 나섰다. 이란은 러시아의 터키-IS 석유 밀거래 의혹을 지지했는데 모흐센 레자이에 이란 국정조정위원회 사무총장은 4일 국영 IRNA 통신에 이란이 IS가 튀르키예에서 석유를 거래한다는 사실을 입증할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란 주요 언론은 터키 대통령의 가족이 IS와의 밀거래에 연루되어있다고 보도했다.[21]

이라크 이라크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는 5일 중무장한 터키군이 이라크 북부에 무단 주둔했다면서 즉각 철군하라고 요구했다. 원래 터키군은 3년전부터 이라크 북부에 주둔중이였는데 터키군이 러시아전투기를 격추한 시점에 이런 주장을 한것은 이라크 역시 러시아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시리아 시리아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은 러시아 전투기 격추사건을 언급하면서 "터키 대통령이 위험한 짓을 하고 있다."라며 터키를 지적했으며 터키가 다에시(IS)에게 무기를 제공했다고 주장했다.[22]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IS

러시아 군용기 격추사건 이후 한달이 지난 12월 4일 다에시 대원이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에대한 욕설을 한 뒤 러시아인 남성을 참수하는 영상을 공개했다.[23]

로자바 로자바

이들은 러시아 전투기가 추락한 직후 조종사 한명을 사살했으며 또한 한명을 포로로 잡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구출을 시도하는 러시아군 Mi-8헬기를 공격해 불시착하게 만들어서 한명이 사망했다.[24]

IS 석유 밀매 의혹

러시아는 피격된 전투기는 터키의 영공을 침해하지 않았으며 이슬람국가(IS)의 석유 판매를 차단하기 위해 공습을 했다고 밝혔다.[25] 터키가 IS와 밀매하는 석유 공급처를 보호하기 위해 전폭기를 격추했으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도 IS 석유 밀매에 연루되어있다고 주장했다. 이란도 터키가 IS의 석유를 밀매한다는 증거를 공개하겠다 밝혔다.[26]

여파

이 사건으로 인하여 러시아터키 양국 관계가 악화되고 사우스스트림을 대신하는 터키스트림 가스관 건설 계획이 다시 파기되었다. 그리고 러시아는 터키의 첫 원자력발전소인 아쿠유 원전의 건설을 중지했다.[27]또한 달러와 엔화 환율 그리고 미국국채금리가 소폭 하락하기도 했다.

각주

  1. “Turkey's statement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l Jazeera》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2015년 11월 24일에 확인함. 
  2. “Turkey downs Russian jet”. 《Al Jazeera》. 2015년 11월 24일.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3. ロシア機撃墜2人死亡 トルコに対抗措置 Archived 2015년 11월 25일 - 웨이백 머신 NHK NEWS WEB 2015년 11월 25일
  4. http://www.ytn.co.kr/_ln/0104_201512020107536605
  5. “보관된 사본”.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6.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34399&code=11141100&cp=nv
  7.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01/0200000000AKR20151201210601098.HTML?input=1195m
  8.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8&news_seq_no=2665243
  9. [1]
  10. [2]
  11. [3]
  12. [4]
  13.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890546
  14. “보관된 사본”.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5.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2/0200000000AKR20151222054400009.HTML?input=1195m
  16. [5]
  17.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113022243972058
  18. “보관된 사본”.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9. [6]
  2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250321051&code=970100
  21.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06/0200000000AKR20151206057900070.HTML?input=1195m
  22. http://news1.kr/articles/?2504564
  23. http://news.donga.com/3/all/20151204/75180903/1
  24. http://www.ytn.co.kr/_ln/0104_201511250337030230
  25. 터키·이스라엘 ‘IS 원유 밀수’ 의혹, 문화일보, 2015-12-01, 15면
  26. 이란 "터키내 IS 석유거래 증거 공개" 공세 가세
  27. “보관된 사본”.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2015년 러시아 수호이 Su-24 격추 사건
  • v
  • t
  • e
아랍의 봄의 일부
시리아 로자바
배경 및 연표
배경
연표
  • 2011년 1월~4월
  • 5월~8월
  • 9월~12월
  • 2012년 1월~4월
  • 5월~8월
  • 9월~12월
  • 2013년 1월~4월
  • 5~12월
  • 2014년 1월~7월
  • 5월~12월
  • 2015년 1월~7월
  • 7월~12월
  • 2016년 1월~7월
  • 7월~12월
  • 2017년 1월~7월
  • 7월~12월
  • 2018년 1월~7월
  • 7월~12월
  • 2019년 1월~7월
  • 7월~12월
  • 2020년 1월~7월
  • 7월~12월
  • 2021년 1월~7월
  • 7월~12월
  • 2022년 1월~7월
  • 7월~12월
  • 2023년 1월~7월
  • 7월~12월
전투 목록
시리아 민중봉기
2011년 3월 ~ 9월
반란의 시작
2011년 9월~2012년 4월
  • 홈스
  • 제1차 이들리브주 충돌
    • 튀르키예 국경충돌
    • 자발 알자위야 학살
    • 제1차 이들리브 전투
    • 사라켑 전투
  • 제1차 라스탄 전투
  • 하마 주 충돌
  • 다라 주 충돌
  • 케르나즈 전투
  • 리프디마슈크주 충돌
    • 제1차 자바다니 전투
    • 도우마 전투
  • 데이르에조르 충돌
    • 하틀라 학살
  • 알레포주 충돌
    • 아자즈 전투
  • 제2차 라스탄 전투
  • 제1차 알쿠사이르 전투
  • 제2차 이들리브주 충돌
    • 타프타나즈 전투
내전 돌입
2012년 5월~2013년 12월
  • 제3차 라스탄 전투
  • 훌라 학살
  • 알하파흐 전투
  • 알쿠베이르 학살
  • 트렘세흐 전투
  • 제3차 이들리브 주 충돌
  • 다마스쿠스 전투
    • 다마스쿠스 폭격
  • 알레포 전투
    • 아나단 전투
    • 메나그 공군기지 공성전
    • 제46기지 공성전
    • 칸 알아살 학살
    • 제1차 알레포 공세
    • 제2차 알레포 공세
  • 쿠르디스탄 전역
    • 라스 알아인 전투
    • 쿠르드-이슬람주의 분쟁
  • 누블·알자흐라 공성전
  • 제2차 리프디마슈크
    • (1차 다라이야)
  • 아부 알두후르 공군기지 공성전
  • 쿠네이트라 주 충돌
  • 3차 리프디마슈크
    • 제1차 야르무크 수용소 전투
    • 2차 다라이야
  • 아크랍 학살
  • 제1차 하마 공세
    • 할파야 학살
  • 사피라 전투
  • 샤다데 전투
  • 다마스쿠스 공세
  • 라카 전투
  • 제1차 다라 공세
  • 4차 리프디마슈크
    • 즈다이뎃 알파들 전투
    • 고우타 화학공격
  • 알쿠사이르 공세
    • 제2차 알쿠사이르 전투
  • 바이다·바니야스 학살
  • 제2차 하마 공세
  • 제1차 라타키아 공세
  • 마로울라 전투
  • 사다드 전투
  • 5차 리프디마슈크
  • 칼라모운 전투
  • 아드라 학살
이슬람주의자 등장
2014년 1월~9월
  • 반군-IS 분쟁
    • 마르카다 전투
    • 제1차 데이르에조르 공세
  • 알오타이바 매복
  • 마안 학살
  • 호슨 전투
  • 모레크 전투
  • 제2차 다라 공세
  • 제2차 라타키아 공세
  • 4차 이들리브 주
  • 알말리하 전투
  • 제2차 와디데이프 공성전
  • 2차 칼라모운
    • 아르살 전투
  • 제1차 샤에르 가스전 전투
  • 동부 공세
    • 알타브카 공군기지 전투
  • 제3차 하마 공세
  • 제6차 리프디마슈크
  • 제1차 쿠네이트라 공세
  • 코바니 공성전
서방의 개입
2014년 9월 ~ 2015년 9월
  • 미국 주도의 개입
  • 제3차 다라 공세
  • 2014년 알사피라 공세
  • 이들리브 습격
  • 알누스라-혁명전선 분쟁
  • 제2차 샤에르 가스전 전투
  • 제1차 알샤이크 마스킨 전투
  • 제2차 데이르에조르 공세
  • 제3차 알레포 공세
  • An-26 추락
  • 제4차 다라 공세
  • 남부 공세
  • 동부 알하사카흐 공세
  • 1차 사린
  • 하마·홈스 공세
  • 보스라 전투
  • 5차 이들리브 주
    • 제2차 이들리브 전투
  • 알푸아카프리야 공성전
  • 나시브 국경검문소 전투
  • 2차 야르무크 수용소 전투
  • 1차 서북부 공세
  • 3차 칼라모운
  • 제1차 팔미라 공세
  • 서부 알하사카흐 공세
  • 1차 알하사카흐 시
  • 1차 텔아비아드 공세
  • 다라·아스수와이다 공세
  • 제2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사린
  • 제5차 다라 공세
  • 2차 알하사카흐 시
  • 2차 코바니
  • 제4차 알레포 공세
  • 2차 자바다니
  • 제2차 팔미라 공세
  • 알가브 공세
  • 1차 알카라타인 전투
  • 도우마 시장 학살
  • 7차 리프디마슈크
  • 쿠웨이레스 공세
러시아의 개입 시작 및 확전
2015년 9월 ~ 2016년
  • 러시아의 개입
  • 제3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서북부 공세
  • 제5차 알레포 공세
  • 마힌 읍 함락
  • 알하울 공세
  • 남부 알하사카흐 공세
  • 3차 홈스 공세
  • 제3차 라타키아 공세
    • 수호이 Su-24 격추
  • 제5차 하마 공세
  • 티시린댐 공세
  • 카미실리 폭탄 테러
  • 우스타 충돌
  • 오론테스 강 공세
  • 제2차 알샤이크 마스킨 전투
  • 3차 데이르에조르 공세
  • 1차 사이다흐 자이랍 공격
  • 7차 알레포 공세
  • 이트리야흐-라카 공세
  • 알샤다디 공세
  • 홈스 폭탄 테러
  • 2차 사이다흐 자이랍 공격
  • 카나시르 공세
  • 2차 텔아비아드 전투
  • 2차 알카라타인 전투
  • 3차 팔미라 공세
  • 8차 알레포 공세
  • 2차 마라트 알누만 전투
  • 6차 다라 공세
  • 만비즈 공세
  • 9차 알레포 공세
국제관계 및 파급
  • 레바논
    • 국경충돌
    • 시돈 전투
    • 이란 대사관 폭파
    • 북부 레바논 충돌
  • 튀르키예
    • 2011년 국경충돌
    • F-4기 요격사건
    • 2012년 국경충돌
    • 레이하늘리 폭파
    • 2014년 공습
    • 쿠르드인 폭동
    • Su-24기 격추사건
  • 이스라엘
    • 마즈라트 아말 사건
  • 요르단
    • 2012년 충돌
    • 2014년 공습
  • 이라크
    • 아카샤트 매복
    • 알샤바흐 작전
참여 세력
시리아 정부
정부
  • 시리아 바트당
  • 아랍 사회주의 운동
  • SSNP
  • 시리아 공산당
무장 세력
해외 지원
반정부군
NCSR
반정부군 단체
  • SNA
  • 시리아 해방전선
  • 엘리트군
  • 진실과 발전 전선
  • 알라흐만 군단
  • 제1해안사단
  • 자유 이들리브군
  • 이슬람군 (시리아)
  • 남부전선
  • 자유부족군
  • 푸르칸 여단
  • 시리아 해방민족전선
  • 레반트 인민중대
  • 혁명주의 코만도
  • 이슬람 순교자 여단
동맹단체
해외 지원
로자바
정부
  • 시리아 민주연합당
  • 쿠르드 민족위원회
  • 소수 정당
시리아 민주군
동맹 단체
이슬람주의자
IS
  • IS의 군사
  • 도쿠마시아르
  • 칼리드 이븐 알와리드 군
  • 알아크사 본부
알카에다 연계 세력
인물
  • 아마르 아브둘하미드
  • 알리 알아브달라흐
  • 아드난 알아르오르
  • 알아사드 가
  • 리아드 알아사드
  • 안와르 알부니
  • 파흐드 자셈 알프레이지
  • 하이탐 알말레흐
  • 모아즈 알카티브
  • 카말 알라브와니
  • 함자 알하티브
  • 탈 알말로히
  • 피다 알사예드
  • 리아드 알투르크
  • 암마르 알쿠라비
  • 수헤일 알하산
  • 슈헤이르 아타시
  • 알리 사드레디네 알바야노우니
  • 아레프 달리라
  • 파리드 가드리
  • 부르한 갈리온
  • 라잔 가자위
  • 가산 히토
  • 살림 이드리스
  • 란다 카시스
  • 압둘 할림 카담
  • 미첼 킬로
  • 바스마 코드마니
  • 알리 하비브 마흐무드
  • 알리 마흐모드 오트만
  • 이브라힘 카스호스
  • 다위드 라지하
  • 야신 알하지 살레흐
  • 보타니아 샤반
  • 아디브 시샤클리
  • 압둘바세트 시에다
  • 리아드 세이프
  • 파드와 솔리만
  • 모함마드 아나스 하이탐 소위드
  • 야세르 타브바라
  • 라잔 자이토네흐
  • 라미 자라흐
주제  · 평화 구상  · 관련 문서
주제
  • 사상자
  • 화학무기
  • 도시와 마을
  • 손상된 문화유산
  • 해외 개입
  • 인권 침해
  • 인도적 지원
  • 국제적 반응 / 시위
  • 학살
  • 난민
  • 종파주의 및 소수민족
  • 여파
  • 시리아의 반응
평화 제안
  • 아랍 연맹 모니터
  • 시리아 친우회
  • 코피 아난 평화 계획
    • UN 감독 미션
  • 라크다르 브라하미 평화 계획
  • 미국-러시아의 시리아 평화 제안
  • 제39회 G8 정상 회담
  •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 2118호
  • 제네바 2 회담
관련 문서
  • 2014년 시리아 정치범 보고서
  • 제4회 이슬람 정상 회의 특별 조항
  • 시리아 국가위원회의 국제적 인정
  • 시리아 파일
  • 시리아 언론 보도
  • The Return to Homs
  • Silvered Water, Syria Self-Portrait
  • 분류 분류
  • 위키공용
  • 위키뉴스